채권 ETF를 투자할 때 고려할 사항
1. 만기가 기냐, 짧냐
만기가 길면 이자율 변동에 따라 채권 가격 변동이 큼. 채권가격 저점(금리 피크 시점? or 선반영?)에 매수하면 금리인하시 가격 인상에 따른 수익 가능.
→ FedWatch 기준 연준 금리가 '23.5월 피크 후 떨어지는 추세.(그때 가봐야 알겠지.. 금리가 떨어지려면 인플레이션이 잡혀야 하고, Job 시장도 악화돼야 함)
< 연준 금리 예상, CME Group FedWatch, '22.12.5 >
2. 그 다음, 물가를 반영하냐 마냐, 배당(분배금?)을 언제 주냐 등이 있는데 아직 여기까지 공부할 준비가 안돼 있음
3. 최근, 만기 매칭형 ETF가 몇 개 신규로 상장됐던데 이건 또 뭐지?
앞으로 금리가 피크를 찍고 내려온다는 전제라면 만기 매칭형보다 기존 타입이 더 나은 거 같은데, 좀 더 공부를 해봐야겠다.
만기 매칭형 | 기존(만기 채칭 안함) | |
개념 | 특정시점에 만기가 도래하면 상장 폐지 (ETF 이름에 기한이 표시돼 있음 KODEX 23-12 등) |
특정 듀레이션을 유지(3~5년, 20년 이상 등) |
구성 | 만기가(존속 기한)이 같은 채권으로 구성 | 주기적으로 채권을 교체(이래야 듀레이션이 유지됨) |
주 기대수익 | 채권을 구입했을 때 가격에 해당하는 기대금리(YTM) | 기대금리 + 채권 가격 인상 |
누가 원할까? | 시장 논리상 특정 만기 시점에 특정 원금과 이자를 준다면 그 ETF는 만기가 가까워질 수록 가격 변동이 줄고 특정 가격으로 수렴하게 될 것임 정해진 이자 수익을 얻는 것이 주 목적 + 채권 가격이 떨어지는 리스크를 피할 수 있음 |
듀레이션이 일정하므로 금리 변동에 따라 가격이 변동되며 금리 인하시 채권가격 인상에 따른 자본이득 가능 |
'소소하게 알아가는 즐거움 > DC형 퇴직연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테슬라+채권 혼합 ETF (0) | 2022.12.21 |
---|---|
DC형 퇴직연금, ETF 공부 (0) | 2022.12.11 |
채권 ETF (0) | 2022.11.30 |
DC형 퇴직연금, ETF 공부(채권형) (0) | 2022.11.29 |
DC형 퇴직연금, ETF 공부 (0) | 2022.1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