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주

(19)
화성 탐사 헬레콥터 인제뉴어티, 72번째 마지막 비행 인제뉴어티 : 화성탐사 프로젝트인 Mars 2020의 탐사선중 하나 Mars 2020의 목표 1) 화성의 지표와 기후를 조사하여 화성의 과거와 현재 환경을 이해하는 것 2) 고대 미생물의 존재 여부를 파악하는 것 3) 화성에서 인간이 생존할 수 있는 환경을 조사하는 것 퍼서비어런스와 함께 탐사중이던 Ingenuity는 날개가 고장 나 72번째 비행을 마지막으로 임무 종료
화성탐사선, Perserverance Rover & Ingeniuty 산타할아버지가 너무 어려운 선물을 주셨네ㅠ 아마존에서 화성탐사선을 팔길래 자세히 안 보고 완제품인 줄 알고 샀는데 만들기 킷이네. 더군다나 메탈. 이번주 휴가라 다행. 제품명 : Metal Earth사의 Mars Rover Perseverance & Ingenuity Helicopter 부품 수 : 189개 조립기간 : 2박 3일(?) 아이와 같이 만들면서 이런저런 얘기도 하고 좋은 경험이었다.(그냥 이렇게 훈훈하게 마무리하는 걸로ㅠ) 이제 일상으로 돌아온 느낌.
세월, 歲月, time and tide 생각 1 요새 읽고 있는 책에 '세월' 얘기가 나오는데, '세'가 몇 세 할 때 그 '세'였네. 해가 가고 달이 가고.. 이게 세월인가 보다. 세월 歲月 歲 해 세 : 해, 나이 月 달 월 1. 흘러가는 시간 2. 지내는 형편이나 사정 3. 살아가는 세상 생각2 시간은 time, 세월은 time and tide tide : 조수, 밀물과 썰물. 달의 중력으로 바닷물이 차고 빠지는 것. 시간이 간다는 걸 쉽게 알 수 있는 게 해가 뜨고 달 모양이 바뀌는 거고, 더 시간이 가면 계절이 바뀌고.. 이게 몇 해가 가면 세월이 간다는 걸로 생각했나 보다.
달 탐사선 아르테미스 1호 발사 성공 오늘 성공하기까지 많은 우여곡절이 있었던 듯하다. '19.5월 트럼프 행정부, 유인 달 탐사 계획 '아르테미스 프로젝트' 발표 → '20.11월 발사 목표 '21. 1.16일, 연소시험 실패 '21. 3.18일, 연소시험 성공 '22. 4.19일, 연료 주입 3차례 시도 모두 실패 '22. 8.29일, 1차 발사 시도, 실패(액체 수소 누출 등) '22. 9. 4일, 2차 발사 시도, 실패(액체 수소 누출 등) '22. 9.28일, 3차 발사 시도, 연기(열대성 폭풍) '22.11.14일, 4차 발사 시도, 연기(열대성 폭풍) '22.11.16일, 15시 48분 발사 성공
국립과천과학관, SF음악콘서트 며칠 전 와이프가 주말에 둘째 데리고 과학관 별 보는데 갔다 오래서 그냥 건성으로 대답했다. 뭐 그냥 매번 보던 별자리 프로그램일꺼라 생각했다. 오늘 본 건 평소에 이런게 있었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던 그런 거였다. 돔에는 밤하늘을 찍은 동영상이 나오고, 무대에서는 작은 오케스트라가 별, 우주와 관련된 연주를 하는 형식이었다. 천체사진가 권오철 님께서 직접 찍은 밤하늘을 돔에 쏴주셨다. 우유니 사막, 미국의 무슨 바위, 5000년 된 나무, 캐나다 오로라 등. 애는 별로 재미없어 했지만 새로운 시도라 괜찮았었음.
아르테미스 1호, 11월 16일 발사 예정 "아르테미스 1호, 16일 발사 확정...열대폭풍 영향 점검 중" 아르테미스 계획 미국이 주도하는 달 탐사 계획 유인 달 탐사, 우주정거장 건설 등이 목적 일정 아르테미스 1호 : 2022년 11월 16일 발사 예정, 달 궤도 왕복(무인), 25일 후 복귀 아르테미스 2호 : 2024년 우주비행사 4명을 태우고 10여일간 달 궤도 왕복 아르테미스 3호 : 2025년 달 착륙 참여국가, 기업 참여국 : 미국, 한국 등 21개국 미국, 룩셈부르크, 아랍에미리트, 영국, 이탈리아, 일본, 캐나다, 호주, 우크라이나, 대한민국, 뉴질랜드, 브라질, 폴란드, 멕시코, 이스라엘, 루마니아, 바레인, 싱가포르, 콜롬비아, 프랑스, 사우디아라비아 참여기업 발사체 : 스페이스X, ULA, 로켓랩 무인 착륙선 : 스페이스..
행성들이 공전, 자전을 하는 이유 현상을 알고는 있으나 왜 그런지 설명을 못하는 것들이 많다. 앞으로도 다 이해하지 못할 가능성이 높겠지만 조금씩이라도 알아보려고 한다. 질문만 한가득 던져본다. 새롭게 알게 된 사실 우리가 달의 같은 면만 보는 것은 달의 공전주기와 자전주기가 같기 때문인데, 다른 행성의 대부분 위성들이 달과 같이 공전주기와 자전주기가 같다고 함(동주기 자전, 조석 고정이라고도 함) 태양도 자전하고 있음(25일에 1번) 행성들의 자전방향은 서→동(반시계 방향)인데 금성은 반대 방향(동 →서, 시계 방향) 금성에서는 해가 서쪽에서 뜸 상상, 궁금증 행성들이 태양에서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면서 돌고 있는 이유는 뭘까? 태양을 빨리 돌면 원심력이 커져 밖으로 튕겨나가고, 느리게 돌면 태양의 인력으로 태양에 흡수되었을 건데 어떻게..
2022.10.28 06:23 화성(Mars) 어쩌다가 딸내미와 아침(새벽?)에 운동하러 갔다가 서쪽에 뭔가 밝은 별이 보이길래 봤더니 화성이네. (오늘 학교에서 농구시험을 본다나.. 어제는 회식이라 저녁에 못가 학교 가기 전에 연습해야 한다고..ㅠㅠ) 딸애 덕분(!)에 우연히 화성도 보고 옆에 시리우스도 있어 별자리 공부도 한 아침이었다. 최근 나사(NASA)가 공개한 화성 사진 2021.12.24 약 12m의 유성체가 화성에 출동 충돌로 너비 150m, 깊이 21m의 분화구 생김 화성 탐사선인 '인사이트'가 충돌 당시 규모 4의 지진기록을 지구에 전송 그 이후 정찰위성과 협업해 자료 분석
마젤란 은하 타란튤라 성운 지금도 어디에선가는 별이 태어나고 있다는 게 신기하다. 우리은하의 위성은하중 하나인 대마젤란 은하(Large Magellanic Cloud) 거리 : 163,000 광년 지름 : 32,000 광년, 우리은하가 약 10만 광년 은하에 있는 타란튤라 성운(Tarantula Nebula) 현재도 별들이 만들어지고 있다고 함
M13 성단, 인류가 우주를 향해 최초로 보낸 메시지가 가고 있는 곳 2022.10.12 글에 대한 추가 공부(https://simpleornothing.tistory.com/27) 1974년 아레시보 천문대에서 헤라클레스 별자리 방향 M13 성단으로 보낸 메시지는 지금 어디쯤 가고 있을까..? 거리를 재볼 것도 없이 우주적(?)인 거리로 보면 이제 막 발송한거나 다름없을 거다. 그당시 M13 성단으로 보낸 이유는 별이 많고 오래돼 지적 생명체가 있을 가능성이 높아서라는데, 지구에서 거리 : 약 25,000광년 지름 : 170광년 별 개수 : 약 50만개 추정 나이 : 약 120억년, 오래된 별이라 주로 붉은 계열의 별이라고 함 ※ 우주 138억년, 지구 45억년 헤라클레스 별자리는 토성 근처를 보면 견우성(독수리자리)이 있고, 은하수를 건너(잘 보이진 않지만) 직녀성(베..
태양에서 가장 가까운 별 '프록시마 센타우리' 10년 좀 길고 2~3년 후면 좀 나아질라나..? 오늘도 잠시 우주로. 태양에서 가장 가까운 별은 '프록시마 센타우리'라고 하네. 알파 센타우리 항성계에 별이 3개 있고 각 이름이 알파 센타우리 A, 알파 센타우리 B, 알파 센타우리 C 이중 알파 센타우리 C가 태양과 가장 가까워 '프록시마 센타우리'라고 한다. ☆ 별은 태양과 같이 스스로 빛은 내는 천체로 우리은하에 약 4,000억개 있다고 함 태양에서 약 4.2광년 거리로 비교적(?) 가까운 거리이나 보이저호(초속 17km)로 7만년 넘게 가야 함 우리은하 안에서 태양이나 프록시마 센타우리나 붙어 있으니 가깝다고 할 수도 있음 주위에 행성도 2개 있는데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함 다시 원초적인 질문으로 돌아와.. 우주 어디인가에 지적인..
Beacon in the Galaxy, 우주를 향한 메시지 발송 요새 읽고 있는 칼세이건의 「지구의 속삭임」이란 책에 나오는 1974년 우주를 향해 발송한 '아레시보 메시지'와 그 이후 50년이 돼 가는 요새 추진되고 있는 새로운 메시지 발송 계획 Beacon in the Galaxy(은하의 신호등). 아레시보 메시지(Arecibo message) 1974.11월 푸에르토리코에 있는 아레시보 천문대에서 우리은하계 내 M13 구상성단(헤라클레스 별자리)을 향해 발송한 메시지 M13 구상성단은 지구에서 25,000광년 떨어진 곳이라 메시지를 받을 때는 서기 27,000년 경(흠..) 메시지 받고 바로 답장 보내도 지구에 오려면 서기 52,000년..... 메시지에는 DNA, 사람 모습, 인구수, 태양계 등 정보를 담고 있음 이 메시지를 만든 드레이크 박사가 동료 과학자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