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소소하게 알아가는 즐거움/DC형 퇴직연금

(19)
채권 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것들 퇴직연금의 많은 비중이 장기채권 ETF에 들어가 있는데 요새 좀 어렵네. 요새 나온 기사중 채권에 영향을 미치는 것들을 보면, ◈ 수요 측면 : 미 연준의 금리 인상 가능성 CME Fedwatch 기준 6.14 FOMC에서는 75%가 현 5.25% 유지, 7.26 FOMC에서는 52%가 5.5%로 0.25p 인상 예상 캐나다는 올 1월, 3월, 4월 4.5%로 유지하다 6.7일 4.75%로 0.25%p 인상(컨센서스는 유지) 호주도 6.6일 4.1%로 0.25%p 인상(컨센서스는 유지) → 기준 금리가 높아지면 일정한 이자를 지급하는 채권의 수요 감소 → 채권 가격 하락 ◈ 공급 측면 : 미 재무부의 국채 발행 재무부의 계좌 잔고가 바닦나면서(올초 4,236억 달러 → 5월 말 489억 달러) 국채 발행..
테슬라 ETF 비교 퇴직연금으로 투자할 수 있는 테슬라 ETF TIGER 테슬라채권혼합Fn ACE 테슬라밸류체인액티브 KODEX 테슬라 밸류체인 ETF 운용사 미래애셋자산운용 한국투자신탁운용 삼성자산운용 운용방법 패시브 액티브 패시브 연보수 0.25% 0.29% 0.18% 상장일 2022.11.29 2023.5.16 2023.6.8 구성 테슬라 30% 국고채 70%(듀레이션 5.2년) 테슬라 25% 테슬라 1.5배(TSLL) 25% 배터리/반도체 등 공급업체 20개 50% 테슬라 28% 엔비디아 12% AMD 12% Honeywell 9% CATL 8% 등 *2023.6.8 기준 뭘 선택해야 하나 테슬라 비중 : TSLA와 조금더 가까운 움직임을 보일려면 ACE가 나을 듯 운용 방식 : 그냥 지수 따라갈려면 패시브가 나음 ..
국채 수익률 결정요인 퇴직연금 계좌의 많은 비중이 30년 국고채 ETF에 들어가 있는데, 국채 수익률/가격은 어떤 로직으로 움직이는지 잘 모르겠다. 다만, 국채도 시장에서 거래되는 자산이니 수요, 공급에 따라 가격이 결정될 꺼라 하나씩 공부해 보려고 한다. 채권 가격 변동 요인 경기 전망 - 경기 상승시 기업의 생산/투자 활동 활발 → 자금 수요 증가 → 금리 인상 → 채권 가격 하락 경기 상승시에는 기업의 실적 전망도 밝아 안전자산인 채권보다 주식의 매력도 증가 - 반대로, 경기 하강시에는 자금의 수요 감소, 금리 하락 → 채권 가격 상승 경기 위축시 주식에서 채권으로 자금 이동 → 채권 가격 상승 물가 전망 - 물가 상승시 기대인플레이션 상승 → 실질금리(명목금리 - 기대인플레) 하락 → 자금 공급 감소/자금 수요 증가 ..
현재 보유 현황, 앞으로는? 보유 현황 퇴직 연금계좌는 어찌하다 보니 안전자산 비중이 높아졌네 테슬라, 테슬라+채권 ETF를 합치니 절반 앞으로는 반도체 ETF 매수 기회를 보고 남은 현금 투자 아.. 근데 이미 많이 오른 건가? 앞으로를 보면 이제 시작인가? 공부를 더 해야겠다. '23.3.18 업데이트 DC계좌 현금을 국고채 30년, 테슬라+채권으로 조금 이동 채권 수익률이 결국은 떨어질껀데 그때가 국고채 30년 ETF의 임무 종료 시점 테크탑 10, 반도체는 길게 가져갈 꺼라 적절한(?) 시점에 더 비중을 늘릴 수 있도록 공부를 계속 해야겠다. '23.4.30 업데이트 테슬라 일부를 레버리지 종목으로 전환 단기적으로 보면 저점이 어디인지 모르겠지만, 길게 보자. 국고채 비중을 조금 더 높임 테크탑 10중 일부를 국고채로 전환...
반도체 업체별 매출 '22년 반도체 업체별 매출을 보면, 팹리스와 파운드리업체가 '21년 대비 매출증가율이 높음 업계 전체적으로 영업이익률이 감소했으나 팹리스 업체는 상대적으로 선방 매출 순위('21년 → '22년) 삼성전자 : 2위 → 1위 TSMC : 3위 → 2위 인텔 : 1위 → 3위 '23년에 TSMC가 1위를 차지할 것 같음
반도체 ETF 퇴직연금에 엔비디아 단일종목 ETF, KODEX 미국반도체 MV를 아주 조금 담았고 타이밍을 보고 있는데, 어느덧 많이 올랐네. 떨어지는 날이 오겠지. KODEX 미국반도체 MV는, 미국에 상장된 반도체 설계, 생산, 장비 업체 25개에 투자 기초 지수 : MV Index Solutions가 산출/발표하는 MVIS US Listed Semiconductor 25 Index '21.6.30 상장, 총보수 0.09%, 분배금 미지급 1 TMSC 11% 대만 파운드리(업계 1위) 2 NVIDIA 10% 미국 팹리스(GPU 1위) 3 AMD 5% 미국 반도체 제조(CPU는 인텔과 경쟁, GPU는 엔비디아와 경쟁) 4 브로드컴 5% 미국 팹리스(통신용 반도체 설계 등) 5 ASML 5% 네덜란드 반도체 장비 제조..
반도체 기초 DC형 퇴직연금의 투자대상에 반도체 ETF도 추가하려고 하며 기초부터 공부해야겠다. 1. 반도체란 반도체의 '개념'은 여기저기 글을 읽어봐도 잘 모르겠음(대략적으로 이해는 가나 내가 누구에게 설명하기가 힘듦) 부도체인 실리콘 기판에 이런 저런 처리를 통해 전기가 흐르게 만든 것 정도로 이해하려고 함 반도체는 기본적으로 '통신'과 '계산'을 하기 위해 필요한데 과거 진공관이 그 시초 사이즈가 작아지고 기능이 많아지면서 요새같은 작은 반도체로 됨 2. 반도체의 구분과 시장규모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연산이나 제어를 하는 비메모리로 구분 - 메모리 : D램(Dynamic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메모리 - 비메모리 : CPU, GPU, MCU(가전제품에 들어가는 반도체) 등 '21년 약..
일본은행(BOJ) 통화정책 최근 DC형 퇴직연금으로 전환돼 조금씩 ETF 사고 있고 안전자산은 장기채 ETF와 테슬라 ETF로 채우려고 한다. 장기채 ETF 가격이 1월 초 이후 계속 오르고 있어 타이밍을 보고 있는데 일본은행의 채권금리 결정 동향도 공부할 필요가 있어 보임. ▣ 일본은행은 경기부양을 위한 통화완화 정책의 일환으로 장기 시장금리를 0% 수준에서 직접 통제 10년물 국채금리 목표 범위를 정해 놓고 금리가 범위에 들어 올때까지 국채를 매매 장기금리 0% 목표, 변동폭 변동 이력 '22. 3월 : ± 0.20% → ± 0.25% '22.12월 : ± 0.25% → ± 0.50% '23. 1월 : ± 0.50% 유지 채권 금리가 오르면 일본은행이 채권을 매입해 금리 인하시킴 (채권 매입 = 채권 수요 증가 = 채권 가격 ..
테슬라+채권 혼합 ETF 퇴직연금이 12월말 DC형으로 전환. 아래 사항 결정 필요 안전자산은 어디에 : ① 장기채권 ETF, ② 나스닥100+채권 ETF, ③ 테슬라+채권 ETF 위험자산은 어디에 : ① 나스닥100 ETF, ② S&P 500 ETF, ③ TIGER 미국테크TOP10 INDXX 테슬라 채권혼합 ETF 상장일('22.11.28) 이후 어제(12.20) 수익률 : TSLA -24.7%, 테슬라 채권 ETF -6.6% → 테슬라 채권 ETF내 테슬라 비중이 30%라 수익률 변동도 TSLA의 대략 30% 수준인 것으로 보임 '23년 안에 or '24년에는 금리가 인하될 걸로 보여 장기채권 ETF도 괜찮아 보임 요새 테슬라 바닦이 어딘지 모르게 내려가는 중인데 여전히 펀더멘탈에 대해서는 의심하지 않고 있음 선택이 쉽지 ..
DC형 퇴직연금, ETF 공부 미국에 투자하는, 낙폭이 크고, 거래량이 있는 몇 개를 골라봤는데, 주로 나스닥 기술주들이네. ETF 상장일 투자 대상 주요 구성 총보수 (%) KODEX 미국나스닥100레버리지(합성 H) 2021.12.09 나스닥100 2배 APPLE 12.5% MICROSOFT 10.2% AMAZON 7.3% TESLA 4.9% NVIDIA 4.2% ALPHABET CL C 3.9% ALPHABET CL A 3.7% META 3.4% BROADCOM 1.9% COSTCO 1.9% 0.3% KODEX 미국FANG플러스(H) 2019.01.10 미국 상장 대표 기술주 10개 NETFLIX 13.1% NVIDIA 12.5% ALIBABA 10.5% MICROSOFT 10.2% APPLE 9.5% BAIDU 9.5% ALP..
DC형 퇴직연금, 채권 ETF(만기 매칭형) 채권 ETF를 투자할 때 고려할 사항 1. 만기가 기냐, 짧냐 만기가 길면 이자율 변동에 따라 채권 가격 변동이 큼. 채권가격 저점(금리 피크 시점? or 선반영?)에 매수하면 금리인하시 가격 인상에 따른 수익 가능. → FedWatch 기준 연준 금리가 '23.5월 피크 후 떨어지는 추세.(그때 가봐야 알겠지.. 금리가 떨어지려면 인플레이션이 잡혀야 하고, Job 시장도 악화돼야 함) 2. 그 다음, 물가를 반영하냐 마냐, 배당(분배금?)을 언제 주냐 등이 있는데 아직 여기까지 공부할 준비가 안돼 있음 3. 최근, 만기 매칭형 ETF가 몇 개 신규로 상장됐던데 이건 또 뭐지? 앞으로 금리가 피크를 찍고 내려온다는 전제라면 만기..
채권 ETF "내년부터 금리 상승세 완화 기대"…채권형 ETF에 뭉칫돈 BlackRock에서 운용하는 미국 채권 ETF SHY : 단기(1~3년) IEF : 중기(7~10년) TLT : 장기(20년 이상) 배운 점 금리 오르면 채권 ETF 가격 하락, 금리 내리면 가격 상승 듀레이션이 길면 금리변동에 따른 민감도가 높아 가격 변동성 큼 금리가 내리면 ETF 가격이 인상되므로 내년 언제쯤 연준의 금리 인상이 멈추면 ETF에 투자하는 것도 방법 DC형 연금계좌 안전사산으로 테슬라 단일종목 ETF에 투자하는 것도 가능 TIGER 테슬라채권혼합Fn ETF : 테슬라 30%, 국채 3-10년 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