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소하게 알아가는 즐거움 (89) 썸네일형 리스트형 트럼프 공약, 아젠다 47/프로젝트 2025 1. 아젠다 47(트럼프 캠프) □ 무역/경제) 미국의 경제회복과 자국 산업 보호를 위해 보편관세 도입, 그린뉴딜 정책 폐지 등 주장 - 보편관세 도입 : 해외에서 수입되는 품목에 10% 추가 관세 부과 - 상호무역법 제정 : 상대국이 미국에 부과하는 관세에 상응하는 관세율을 상대국에 부과 - 바이든의 친환경 정책 폐기 : IRA, 그린딜 정책 등 폐기 - 중국에 대한 의존도 축소, 대중국 견제 강화 : 대중국 무역적자 축소 등 경제적 자립 정책 시행 □ 에너지/환경 정책) 에너지 공급확대, 저비용 에너지/전기 확보 - 친환경/에너지 규제 완화 : 화석연료/원자력 에너지 생산 확대 - 전기차/기후 대응정책 철회 : 전기차 의무화 등 정책 폐기 .. 일본, 국채매입 줄여 엔저 방어 日, 국채매입 줄여 슈퍼엔저 방어한다(매일경제, 2024.6.15) □ 금융정책결정회의(6.14)에서 국채 매입 축소 결정 - 금리 : 현 수준(0~0.1%) 유지 - 국채 매입규모 : 매월 6조엔 규모를 축소할 예정(구체적인 계획은 7월 회의에서 결정) □ 국채 매입을 축소하면 국채 수익률 상승(국채 가격 하락) 예상 - 2013년부터 아베노믹스의 일환으로 양적/질적 금융 완화 정책 시행 - 2016년부터 수익률 곡선 제어(YCC) 정책 시작 · 10년물 국채금리가 1%를 넘을때마다 일본은행이 국채매입(국채 매입 → 국채 가격 상승 → 국채 수익률 하락) □ 국채 수익률 상승하면 일본 국채로 자금이 몰려 엔화 가치 상승 - 일본 국채 수익률 상승시 엔케리 트레이드 감소 예상.. 상해컨테이너운임지수(SCFI) □ 상해컨테이너운임지수(SCFI) 개요 - 중국의 상해해운거래소(SSE)에서 매주 발표하는 상하이발 컨테이너운임지수 - 상하이에서 출발하는 15개 노선의 운임을 반영한 지수 · 15개 노선 : 지중해, 유럽, USWC(미국서안)/USEC(미국동안), 중동, 오세아니아, 동∙서아프리카, 남아프리카, 남아메리카, 서일본, 동일본, 동남아, 한국 등 ※ 글로벌내 상해 컨테이너 물동량이 약 16%로 가장 큼전 세계에서 물동량이 가장 많아 가장 대표적인 운임 지수이다. 2009년 10월 16일을 1,000으로 산정하여 발표하고 있다. □ SCFI는 코로나19로 '22년 1월 5,109 피크이후 하락락, 홍해 사태 등으로 3천 돌파 - 공급 요인 · '23년 말~'24년 초 홍해.. 글로벌 GDP, 시총내 주요 국가별 비중 □ 2023년 글로벌 투자자산 280조달러 - 채권 : 130조달러(46%) - 주식 : 120조달러(43%) - 금식 : 123조달러( 1%) - 기타 : 27조달러(10%) □ 2022년 글로벌 GDP 101조달러, 시총 94조달러 - 미국 : GDP 25조달러(글로벌내 25%), 시총 40(글로벌내 43%, GDP 비중대비 18%p↑) - 중국 : GDP 18조달러(글로벌내 18%), 시총 11(글로벌내 12%, GDP 비중대비 6%p↓) - 일본 : GDP 14조달러(글로벌내 14%), 시총 15(글로벌내 16%, GDP 비중대비 2%p↑) □ 2022년 글로벌 시총은 GDP의 94% - 미국 : 158%, 2023년 182%로 증가 - 중국 : .. 한국의 무역수지 □ 한국의 무역수지가 2017년 952억불로 최대규모, 이후 지속 하락해 2023년 103억불 적자가 됨 - 중국 : 2013년 이후 지속 하락세이며 2023년 180억불 적자 - 미국 : 2019년 이후 지속 증가세이며 2023년 444억불 흑자 □ 한국의 수출액 비중이 가장 큰 국가는 중국이며 그 다음이 미국 - 중국, 미국 두 국가의 합이 약 40%이며 2018년 중국은 비중하락, 미국은 증가해 2023년 유사한 수준(중국 19.7%, 미국 18.3%) □ 미/중 무역갈등, 경제 블록화에 따라 미국 중심으로 수출구조 재편, 중국의 자국산 제품 경쟁력 강화에 따라 한국산 수요 감소 등이 원인 * 한국무역통계, https://stat.kita.net/stat/kts/sum/SumImpEx.. 일본 주가가 오르고 있는 이유 □ 일본 주가지수가 지난 3월 4만을 넘으면서 1989년 버블때보다 높게 상승 - 1989.12월 38,916, 2024.3월 40,888 □ 아베의 양적완화로 인한 엔저로 수출경쟁력 증가, 통화량 증가 등이 이유 - 통화량 증가 : 2010년 GDP대비 M2비율 184% → 2022년 328%로 증가(미국 65% → 93%) - 달러/ 환율 : 2001년 80 yen/$ → 2024.5월 154 - 미/중갈등으로 중국시장 부진, 일본 개인투자 세제지원 확대, 일본은행/공적자금의 증시투자 확대 등 · 일본은행의 주식 보유액 : 약 71조엔(2024.2월)으로 일본 전체 주식총액의 6% 수준 국가별 수출입 규모 □ 수출은 중국 3.4조달러, 미국 2.0조달러, 독일 1.6조달러 순, □ 수입은 미국 3.0조달러, 중국 2.2조달러, 독일 1.4조달러 순 - 중국 수출은 미국, 홍콩, 일본 순, - 수입은 대만, 미국, 한국 순 - 미국 수출은 캐나다, 멕시코, 중국 순 - 수입은 멕시코, 중국, 캐나다 순 - 한국 수출은 중국, 미국, 베트남 순 - 수입은 중국, 미국, 일본 순 □ 미-중 갈등으로 미국내 중국의 무역규모가 감소세 중국, 디플레이션 수출 □ 중국 업체의 공급과잉으로 재고 누적, 저가수출 확대 -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정부주도 대규모 경기부양책 시행 → 기업의 투자 확대 - 미-중 무역갈등, 부동산 경지악화, 팬데믹 등으로 소비 부진 → 재고 누적 증가 · 태양광 패널 가격 50% 하락(세계 태양광 설비시장내 중국 점유율은 70%, 풍력발전 60%) · 알테쉬의 저가제품 유통 확대 · BYD의 저가자동차 출시 등 - 중국 정부의 보조금으로 가격 인하 가능 □ 각국의 대응 - 미국 등 다른 국가는 단기적으로 저가 제품으로 인해 소비자 혜택이 있지만, 장기적으로 자국 산업 피해 - 각국은 자국산업 보호를 위해 관세 부과 등 조치 시행 · 미국 : 바이든, 슈퍼 301조에 근거해 중국산 철강 관세 기존 .. 미국 무역수지 □ 미국의 무역적자 지난 30년간 지속 증가세 - '23년 수입 3조 840억불, 수출 2조 195억불 → 1조 645억불 적자 - 중국 2,560억불로 1위, 한국 510억불로 9위 ※ 경상수지 = 상품수지+서비스수지+본원소득수지+이전소득수지 무역수지 = 통관기준 상품수지에는 해외공장에서 다른 나라 수출한 것 포함, 무역수지에는 미포함 美, 제조업 확장세로 전환 □ 미국, 제조업이 확장세로 전환 - 4/1 발표된 제조업 구매관리자 지수(PMI) 50.3 기록, '22년 9월 이후 17개월 만에 50 넘김 - 제조업 성장에 따라 경기 확장 조짐 보임 · 미 애틀란타 연방준비은행, '24년 1분기 GDP 성장률 전망치 2.3% → 2.8%로 상향 ※ 3/29 발표된 '23년 4분기 GDP 증가율 확정치가 3.4%로 잠정치대비 0.2% 상향조정 □ 금리인하 시점이 늦어질 가능성 제기 - 고용시장이 견조해 소비여력 高 → 섣불리 금이인하시 물가 재상승 가능성 높아짐 · 3/19 제롬 파월, "FED는 금리를 인하하기 위해 서두를 필요 없다" □ 고금리 지속시 국채금리 상승, 달러 강세 유지 가능 - 미 10년물 국채 수익률 : 1주일 전(3/28) 4.21% → 4/4.. 엔드 투 엔드 FSD □ 엔드 투 엔드 AI AI 시스템이 Data 입력/처리/판단/결과 생성까지 스스로 처리하는 방식 기존 AI에서 이러한 기능을 위해 입력하던 코딩이 엔드 투 엔드 방식에서는 필요 없게 됨 챗 GPT 답변 엔드 투 엔드 AI는 인공지능 시스템이 입력에서 출력까지 전체적으로 처리하는 방식을 가리킵니다. 이러한 시스템은 데이터 처리, 판단, 결과 생성 등을 포함하여 전체적인 작업을 담당합니다. 엔드 투 엔드 AI는 데이터의 입력부터 최종 결과물까지의 전체 과정을 자동화하며, 보다 효율적인 작업 수행을 가능하게 합니다. 이는 예를 들어 기계 번역, 음성 인식, 이미지 분류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됩니다. □ 엔드 투 엔드 FSD 자율주행에 필요한 도로 규칙 등을 기존에는 코딩해서 입력했으나 엔드 두 엔드 방식에.. 테슬라 IR, 성장동력 앞으로의 성장 동력 단기 중기 전기차 기업 (자동차의 전기화) - 사이버트럭 Ramp-up, 수익성 확보 - 모델2 - 휴머노이드 AI 기업 (자동차의 지능화) - FSD 확대, FSD 라이선싱 - 로보택시 2024.1 In 2023, we delivered over 1.2 million Model Ys, making it the best-selling vehicle, of any kind, globally. For a long time, many doubted the viability of EVs. Today, the best-selling vehicle on the planet is an EV. Free cash flow remained st.. 이전 1 2 3 4 ··· 8 다음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