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 '21년 17.5조 달러로 미국(23조 달러)의 76% 수준 ('01년 WTO가입시 미국의 13%)
- 1976년 마오쩌둥 사망, 덩샤오핑 등장 후 개혁조치(흑묘백묘론)
1979년 미-중간 외교관계 회복, 개혁 개방 시작. 값싼 노동력/임대료를 이유로 해외 자본 유입
2001년 세계무역기구(WTO) 가입. 수출 확대 - 최근 성장 둔화세
미-중 무역갈등 지속, 헝다그룹발 부동산 리스크, 기업규제(공동부유 등)로 인한 기업환경 불확실성, 탄소중립 정책 등
일본
- '21년 4.9조 달러로 미국의 21% ('95년 5.5조 달러로 미국의 73%)
- '90년대 초 버블 붕괴 후 30년 가까이 성장 정체
앞으로 더 생각해볼 것
- 중국
미국이 중국을 견제하면서 국제 경제질서를 재편하고 있는데 중국의 대응방안은?
일대일로(一帶一路, BRI/Belt and Road Initiative) 정책의 궁극적인 목표는?
달러 패권을 견제하기 위한 중국의 전략은? - 일본
버블 붕괴 후 성장동력을 찾지 못하는 근본적인 이유는 무엇인가?
일본의 업체들이 글로벌 위상을 회복하지 못하는 이유는?
'소소하게 알아가는 즐거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기전망과 채권금리 관계 (4) | 2022.09.30 |
---|---|
WGBI(글로벌국채지수) (2) | 2022.09.28 |
RE100, VPP (1) | 2022.09.27 |
올해의 악재들은 언제쯤 끝이 보이려나 (7) | 2022.09.27 |
상하이 협력기구(SCO) (0) | 2022.09.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