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직연금을 DC형으로 변경하기 위해 필요한 내용을 공부중이다.
우선 ETF를 좀 더 알아보려고 함(구체적으로 '추종'한다는 게 무슨 의미이고 가격이 '어떻게' 정해지는지)
DC형 퇴직연금 투자 가능 상품
- 한국 증시 상장
- 펀드, ETF 등
※ 개별 주식 안됨
ETF?
- ETF(Exchanged Traded Fund, 상장지수펀드) : 특정 지수를 추종하는 인덱스 펀드
- 예를 들면 ETF(SPY, VOO 등) 가격이 S&P 500 지수를 추종한다는 건데, 구체적으로 어떻게 가격이 정해지는 거지?
→ 가격은 시장의 수요/공급에 따라 실시간으로 정해지는데 어떻게 '추종'한다는 건지..
ETF의 가격(우리가 주가 창에서 보는 그 가격)이 정해지는 로직(100% 이해는 무리해 보이고 그냥 돌아가는 로직만 겨우 이해해 보자)
- 기본 로직 : 가격은 어떻든 시장에서 정해짐(추종하는 지수의 value를 반영해 실시간이건 데일리건 자동으로 정해지는 건 아님)
- ETF 가격과 추종하는 지수의 value가 다를 때 업체(유동성공급자, Liquidity Provider, LP)가 가격을 매칭하기 위해 매도/매수 주문을 내 지수의 value에 근접하도록 유도
→ 이런 과정을 통해 가격은 추종하는 지수의 value를 반영하게 됨 - S&P 500 지수를 추종하는 SPY와 VOO 가격을 보면 그 차이가 1% 이내에서 움직임
→ 즉, ETF의 수익률은 S&P 500 지수의 수익률을 따라감
'소소하게 알아가는 즐거움 > DC형 퇴직연금' 카테고리의 다른 글
DC형 퇴직연금, ETF 공부 (0) | 2022.11.28 |
---|---|
ETF 수익률 비교 (6) | 2022.11.09 |
DC형 퇴직연금, 투자대상(단일종목 ETF 등) (10) | 2022.11.06 |
테슬라 비중 높은 ETF (14) | 2022.11.04 |
퇴직연금 DB형 → DC형으로 바꿔야 할 타이밍? (13) | 2022.1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