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할 게 많네..
1. 적립금 투자대상 구분
- 안전자산 : 채권형 펀드, 주식 비중이 40% 이하 혼합형펀드 등
- 위험자산(최대 70%) : 주식비중 40% 넘는 혼합형펀드, ETF 등
※ 레버리지, 인버스 ETF는 투자 불가
2. TDF(Target Date Fund), 특정한 조건을 만족하는 적격TDF라면 안전자산으로 구분
- 생애주기에 따라 안전자산과 위험자산 비중을 조절해주는 펀드
- 주식비중 최대 80% 가능, 타겟 시점 이후 40% 이하
3. 단일종목 ETF(안전자산으로 분류)
- ETF에는 최소 10개 종목으로 구성돼야 해 특정 주식 1개(최대 30% 비중) + 채권 9개로 구성
- 테슬라/애플/엔비디아 등('22.11월 출시 예정)
앞으로 더 공부할 것
- TDF는, 타겟 시점이 가까워질수록 안전자산 비중이 높아지는 게 유리한 건가..?
- 안전자산을 단일종목 ETF로 채우고 위험자산에서도 특정 주식 비중이 높은 걸 찾으면 특정 주식의 전체 비중을 조금 높일 수는 있어 보임
평소에 메뉴 1개만 취급하는 식당을 좋아하는데 상품이 많으니 고민도 많이 하게 되네.
'소소하게 알아가는 즐거움 > DC형 퇴직연금' 카테고리의 다른 글
DC형 퇴직연금, ETF 공부 (0) | 2022.11.28 |
---|---|
ETF 수익률 비교 (6) | 2022.11.09 |
테슬라 비중 높은 ETF (14) | 2022.11.04 |
DC형 퇴직연금, ETF 공부 (8) | 2022.11.02 |
퇴직연금 DB형 → DC형으로 바꿔야 할 타이밍? (13) | 2022.1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