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새 네옴시티란게 종종 들리는데, 사우디는 왜 그걸 추진하는 걸까?
네옴시티의 실현가능성은 논외로 하고 그걸 추진하려는 이유는 뭘까.
2016년 4월 '사우디 비전 2030' 발표
- 석유 중심의 산업구조에서 다각화 추진 등 포트스 오일 시대를 준비하기 위한 국가 혁신 전략
- 과거 '개발비전 1970-85' 등 탈석유 중장기 계획을 수립했었으나 큰 성과 거두지 못함
- 2011년부터 본격화한 미국의 세일오일 생산확대에 따른 글로벌 경쟁구도 변화, 저유가 지속 등 미래 불확실성 가중
2017년 10월 '친환경 미래도시 프로젝트 네옴' 발표
사우디 북서부 지역 2만 6500㎢ 크기(서울의 약 44배)
- 더 라인 : 친환경 주거·상업 도시
- 옥사곤 : 팔각형 구조의 최첨단 산업도시
- 트로제나 : 친환경 산악 관광단지
단기/중기적으로 미국의 셰일오일 생산증가로 공급구조 변화,
중장기적으로 에너지전환에 따라 수요가 감소 등에 따라 사우디는 산업/경제체제를 바꿔야 할 필요가 있음.
네옴시티가 계획대로 추진되던 다른 뭐가 추진되던 포트스 오일 시대로의 전환은 가속화될 것 같음.
요새 사우디와 미국이 대립각을 세우는 모습이던데, 아래 키워드들이 어떻게 영향을 주고받을지는 계속 공부해야겠다.
페트로달러 체제는 언제 어떤 계기로 약화될까, 미-중, 미-러 갈등은 사우디에게 어떻게 기회로 다가오나.
'소소하게 알아가는 즐거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이클로이드 곡선 (14) | 2022.10.23 |
---|---|
일본 물가, 환율, 임금수준 (14) | 2022.10.22 |
일본이 장기 저성장의 늪에서 빠져나오지 못하는 이유 (14) | 2022.10.10 |
영문 운전면허증, 모바일 운전면허증 (14) | 2022.10.04 |
영국 Growth Plan 2022, 부자 감세안 철회 (4) | 2022.10.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