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128)
미국, 노랜딩(no landing) 예상? "경기둔화도, 금리 인하도 없다"…美 강한 고용에 고개든 ‘노랜딩’ 시나리오 ('23.2.7 서울경제) 노랜딩(no landing, 경착륙/연착률도 아닌 비착륙?) 경제가 둔화되지 않지만 인플레이션도 떨어지지 않아 연준이 긴축을 종료하지 않고 높은 기준금리를 계속 유지하는 상황 '23.1월 실업률 3.4%로 1969년 이후 최저 → 임금 인상 → 실질임금 증가해 소비지출 증가/기업 실적 개선되나 고임금 이유로 인플레이션 높게 유지 금융시장 불확실성 증가 과거를 경기침체시 주가 하락을 봤을 때 노랜딩이 나은 건가..?
반도체 기초 DC형 퇴직연금의 투자대상에 반도체 ETF도 추가하려고 하며 기초부터 공부해야겠다. 1. 반도체란 반도체의 '개념'은 여기저기 글을 읽어봐도 잘 모르겠음(대략적으로 이해는 가나 내가 누구에게 설명하기가 힘듦) 부도체인 실리콘 기판에 이런 저런 처리를 통해 전기가 흐르게 만든 것 정도로 이해하려고 함 반도체는 기본적으로 '통신'과 '계산'을 하기 위해 필요한데 과거 진공관이 그 시초 사이즈가 작아지고 기능이 많아지면서 요새같은 작은 반도체로 됨 2. 반도체의 구분과 시장규모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연산이나 제어를 하는 비메모리로 구분 - 메모리 : D램(Dynamic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메모리 - 비메모리 : CPU, GPU, MCU(가전제품에 들어가는 반도체) 등 '21년 약..
레이달리오, 변화하는 세계질서 (책을 읽으면서 계속 업데이트 예정) IMF, 닷컴버블, 금융위기도 지나오기는 했지만 체감하지는 못했던 거 같다. 올 한 해는 전쟁, 코로나, 금리인상, 인플레이션, 경기둔화... 여러 일들이 한꺼번에 왔다. 경기침체가 올지 연착륙할지 잘은 모르겠지만 주가가 반토막 나는 상황이 되니 경기사이클을 좀 공부해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그래서, 레이달리오의 변화하는 세계질서를 읽기 시작했고 책이 두껍지만 다음주가 휴가이니 천천히 읽어봐야겠다. 목차 제1부 세상의 작동 원리 1장. 빅 사이클 개요 2장. 결정 요인 3장. 통화, 신용, 부채, 경제 활동의 빅 사이클 4장. 통화 가치의 변화 5장. 내부 질서와 혼란의 빅 사이클 6장. 국제 질서와 혼란의 빅 사이클 7장. 빅 사이클로 판단하는 투자 제2부 지난 50..
Generative AI 1. Generative AI 개념 Analytical(또는 Traditional) AI : 분석, 인식, 평가, 추천 등에 특화 Generative AI : 인공지능이 새로운 컨텐츠를 만듦 2. Generative AI 종류 Image Generation Image to Image Translation Text to Image Translation Text to Speech Audio/Video Generation 3. 몇 가지 질문 Generative AI가 대체하지 못하는 인간의 능력은 무엇일까? Generative AI가 대체하는 Job은 뭐고, 새로 만드는 Job은 뭘까? Generative AI는 기존의 제품/서비스를 어떻게 변화시킬 것인가?
일본은행(BOJ) 통화정책 최근 DC형 퇴직연금으로 전환돼 조금씩 ETF 사고 있고 안전자산은 장기채 ETF와 테슬라 ETF로 채우려고 한다. 장기채 ETF 가격이 1월 초 이후 계속 오르고 있어 타이밍을 보고 있는데 일본은행의 채권금리 결정 동향도 공부할 필요가 있어 보임. ▣ 일본은행은 경기부양을 위한 통화완화 정책의 일환으로 장기 시장금리를 0% 수준에서 직접 통제 10년물 국채금리 목표 범위를 정해 놓고 금리가 범위에 들어 올때까지 국채를 매매 장기금리 0% 목표, 변동폭 변동 이력 '22. 3월 : ± 0.20% → ± 0.25% '22.12월 : ± 0.25% → ± 0.50% '23. 1월 : ± 0.50% 유지 채권 금리가 오르면 일본은행이 채권을 매입해 금리 인하시킴 (채권 매입 = 채권 수요 증가 = 채권 가격 ..
2023 전미경제학회, 구조적 침체 가능 '23년 1월 6일~8일 전미경제학회 연례총회 "팬데믹 끝나도…저금리 다시 안온다" 래리 서머스 하버드대 교수 1970년대 오일쇼크 이후 제2의 구조적 침체 맞을 수 있음 구조적으로 고금리, 고물가 유지될 수 있음 가계, 저축이 빠르게 소진, 대출이 늘면서 소비 둔화 가능 기업, 운영비 절감 정부, 인구증가로 교육/복지 지출 증가, 기후변화 관련 비용 증가 → 정부 부채가 추세적으로 증가하는 상황 데이터를 찾아보니, 저축금액(+비율) 모두 '21년 1Q 이후 하락중 소비하기 위한 자금원으로 정기적인 소득 외 카드나 대출을 이용하는 비율이 지속적으로 증가 중
유럽연합 에너지 전환 정책 EU 에너지 정책 흐름 기존에 EU 그린딜/Fit for 55로 추진하고 있던 정책들이 러-우 전쟁으로 가속화 됐으며 REPowerEU로 정책화 탄소국경조정제도는 에너지 전환 목적과 함께 역내산업 보호 목적(미국 IRA와 유사) 에너지 위기, 지정학적 위기, 탈세계화(경제블럭화) 추세에 따라 무역장벽이 추가되는 느낌이며, 물가 인상 요인으로 작용 가능 시점 내용 목표 방법 '96년 - 글로벌 기온상승 2℃이내로 억제할 것에 합의 '03년 - 탄소배출권 거래제도 도입 '19.12월 EU 그린딜 - 기후변화를 인류가 당면한 가장 큰 위기로 규정 - '50년 탄소중립 달성 - 에너지/산업/교통/건물 등 분야별 감축 '21.7월 Fit for 55 - '30년까지 '90년 탄소배출량 수준의 55% 감축 - 배출..
'23.3.1 테슬라 인베스터 데이 "Our investors will be able to see our most advanced production line as well as discuss long term expansion plans, generation 3 platform, capital allocation" 진보된 생산라인 : 뭔가 실물로 보여줄게 있는 건가..?장기 확대 계획 : 마스터 플랜3?마스터 플랜 1('06년) : 스포츠가 출시(로드스터), 모델S/X 출시, 모델3/Y 출시, 솔라시티마스터 플랜 2('16년) : Solar Roof/Mega Pack, 전기차 라인업 확장(Cyber Truck/Semi), 자율주행(FSD), 자동차 이용하지 않을때 수익 발생(로보택시)마스터 플랜 3 : 지구의 에너지 인프라/운송체계를 모..
미국 고용지표 미 연준이 인플레이션을 3가지로 구분하고 재화, 주택서비스는 인플레이션이 둔화되나, 서비스는 둔화세가 보이지 않는다고 함 미국 노동 관련 지표를 보면, 평균 임금인상률은 '22년부터 급격히 상승, '22.12월 기준 평균 6.2%(이직자 7.7%, 계속 근무하는 사람 5.5%) 시간당 평균 임금도 '22.3월 5.6%로 정점 이후 '22.11월 5.1%로 소폭 감소 구인건수, 구직자수는 '21.5월 대략 900만명대로 비슷한 수준에서 구인건수 '22.3월 1,185만명 정점 후 '22.10월 1,033만명으로 13% 감소 연준의 금리인상으로 노동인력 수급차이가 조금 좁혀지기는 하겠으나, '10년 이후 추세를 보면 구조적인 이유로 보이며 이를 금리정책만으로 다 좁힐 수 있을지는 불확실함 미국이 지속적으로 ..
테슬라 vs 주요 빅테크 성장률 요새 테슬라에 대한 이런저런 얘기(수요 감소 등)가 나오는데, 주가란 것은 바다를 건너가는 배와 같다는 생각이 든다. 조류를 잘 타고 가면 더 빨리 가겠지만 역풍이 불어 바닷물이 거꾸로 흐른다면 어쩔 수 없는 것 같다. 시장 전체적인 이슈인지 개별 기업이슈인지는 구분할 필요가 있어 보이고, 과거의 트렌드가 미래를 담보하지는 않겠지만, 최소한 주요한 업체들과 비교해 본다면 테슬라가 상대적으로 성장가능성이 높다는 건 아직도 유효하다고 생각한다. DC형 퇴직연금 전환돼 이번주 계좌로 들어온다는데, 안전자산 30%는 테슬라+채권혼합 ETF에 투자하는 걸 생각해 봐야겠다.
화성탐사선, Perserverance Rover & Ingeniuty 산타할아버지가 너무 어려운 선물을 주셨네ㅠ 아마존에서 화성탐사선을 팔길래 자세히 안 보고 완제품인 줄 알고 샀는데 만들기 킷이네. 더군다나 메탈. 이번주 휴가라 다행. 제품명 : Metal Earth사의 Mars Rover Perseverance & Ingenuity Helicopter 부품 수 : 189개 조립기간 : 2박 3일(?) 아이와 같이 만들면서 이런저런 얘기도 하고 좋은 경험이었다.(그냥 이렇게 훈훈하게 마무리하는 걸로ㅠ) 이제 일상으로 돌아온 느낌.
테슬라+채권 혼합 ETF 퇴직연금이 12월말 DC형으로 전환. 아래 사항 결정 필요 안전자산은 어디에 : ① 장기채권 ETF, ② 나스닥100+채권 ETF, ③ 테슬라+채권 ETF 위험자산은 어디에 : ① 나스닥100 ETF, ② S&P 500 ETF, ③ TIGER 미국테크TOP10 INDXX 테슬라 채권혼합 ETF 상장일('22.11.28) 이후 어제(12.20) 수익률 : TSLA -24.7%, 테슬라 채권 ETF -6.6% → 테슬라 채권 ETF내 테슬라 비중이 30%라 수익률 변동도 TSLA의 대략 30% 수준인 것으로 보임 '23년 안에 or '24년에는 금리가 인하될 걸로 보여 장기채권 ETF도 괜찮아 보임 요새 테슬라 바닦이 어딘지 모르게 내려가는 중인데 여전히 펀더멘탈에 대해서는 의심하지 않고 있음 선택이 쉽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