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 탐사선 아르테미스 1호 발사 성공
오늘 성공하기까지 많은 우여곡절이 있었던 듯하다. '19.5월 트럼프 행정부, 유인 달 탐사 계획 '아르테미스 프로젝트' 발표 → '20.11월 발사 목표 '21. 1.16일, 연소시험 실패 '21. 3.18일, 연소시험 성공 '22. 4.19일, 연료 주입 3차례 시도 모두 실패 '22. 8.29일, 1차 발사 시도, 실패(액체 수소 누출 등) '22. 9. 4일, 2차 발사 시도, 실패(액체 수소 누출 등) '22. 9.28일, 3차 발사 시도, 연기(열대성 폭풍) '22.11.14일, 4차 발사 시도, 연기(열대성 폭풍) '22.11.16일, 15시 48분 발사 성공
아르테미스 1호, 11월 16일 발사 예정
"아르테미스 1호, 16일 발사 확정...열대폭풍 영향 점검 중" 아르테미스 계획 미국이 주도하는 달 탐사 계획 유인 달 탐사, 우주정거장 건설 등이 목적 일정 아르테미스 1호 : 2022년 11월 16일 발사 예정, 달 궤도 왕복(무인), 25일 후 복귀 아르테미스 2호 : 2024년 우주비행사 4명을 태우고 10여일간 달 궤도 왕복 아르테미스 3호 : 2025년 달 착륙 참여국가, 기업 참여국 : 미국, 한국 등 21개국 미국, 룩셈부르크, 아랍에미리트, 영국, 이탈리아, 일본, 캐나다, 호주, 우크라이나, 대한민국, 뉴질랜드, 브라질, 폴란드, 멕시코, 이스라엘, 루마니아, 바레인, 싱가포르, 콜롬비아, 프랑스, 사우디아라비아 참여기업 발사체 : 스페이스X, ULA, 로켓랩 무인 착륙선 : 스페이스..
2022.11.5 국제 기사 4개(독-중 정상회담, 일-중 정상회담, G7-러 제재, 일-러 에너지협력)
신냉전체제라고 하나 언제나 그렇듯 자국의 이익에 가장 도움되는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다. 기사 1. "10년전 중국 아니다"... 결국 시진핑 손잡은 독일 총리 중국은 독일의 최대 무역 상대국, 폭스바겐/지멘스/도이체방크/바스프 등 CEO 방중단에 포함 중국은 추진중인 중·EU 포괄적투자협정을 최종 마무리하려는 의도도 있음 ※ 유럽연합이 중국의 신장위구르족 인권문제로 협정 비준 보류 중 기사 2, 日 기시다도 이달중 시진핑과 정상회담 가닥 G20이나 APEC에서 만날 듯 G20 : Group of 20(주요 20개국 회의), 매년 개최(올해는 11.15~16일 인도네시아 발리) ※ 20개국 G7(미국, 일본, 독일,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캐나다) + 신흥국 12개(중국, 인도, 한국, 러시아, 브라질..